[앵커]
아는기자, 아자. 경제산업부 안보겸 기자 나왔습니다.
Q1. 안 기자, 주말을 지나 오늘까지 이번 화재 영향을 안 받은 국민이 없을 것 같아요. 카카오가 데이터 관리에 소홀했던 건 명백한 사실인 걸로 드러나고 있죠?
네, 안전 불감증이 만든 명백한 '인재'라는 시각이 지배적입니다.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바로 인프라 투자 소홀과 매뉴얼 부재입니다.
먼저 다수의 데이터센터를 두고 여유 용량을 대비해뒀다가 천재지변이 발생하면 재빨리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는 이원화 조치가 안 됐습니다.
평소 충분한 용량의 인프라를 갖춰 놨어야 했는데 투자를 소홀히 한 겁니다.
그다음은 매뉴얼 부재입니다.
[양현서 / 카카오 부사장 (어제)]
"워낙 예상할 수 없는 그런 사고였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대해서까지는 저희가 그 화재가 나서 서버 전체가 내려가는 이런 부분까지는 조금 대비가 부족했던 게 아닌가."
화재부터 해킹, 테러 등 각종 재난 상황에 대한 대응 매뉴얼이 있어야 하는데 아예 없거나 제대로 작동 안 한 겁니다.
Q2. 그런데 이 큰 기업이 지금까지 자체 데이터 센터가 없다는 사실이 놀라운데요. 온 국민 데이터를 다 가지고 있는데요.
카카오의 데이터센터는 이번 화재 사고가 난 판교를 포함해 모두 4곳입니다.
그런데 4곳 모두 다른 업체로부터 시설과 설비를 빌려 쓰는 쉽게 말해 '셋방살이'하는 곳들입니다.
아무래도 운영에 제한이 있겠죠.
반면 네이버는 임대 데이터센터 5곳뿐 아니라 춘천에 아예 자체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입니다.
내년에 세종의 제2 데이터센터까지 가동되면 모두 7곳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카카오도 내년 완공을 목표로 경기도 안산에 첫 자체 데이터 센터를 짓고 있지만 속도가 너무 늦습니다.
이에 카카오 측은 "2019년부터 데이터센터를 짓기로 했다"며 "그때만 해도 기업 규모가 이렇게 크지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Q3. 그럼 해외 빅테크 기업들과 비교하면 어떻습니까?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미 2년 전부터 부산에 자체 데이터 센터를 짓고 서울-부산 쌍둥이 센터로 운영 중입니다.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않는 것 기본 중 기본이죠.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같은 업체들은 전 세계 곳곳에 이런 데이터센터를 두고 있고 어디에 있는지도 투명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심지어 북극해 차가운 바닷물로 냉각하는 수중 데이터센터까지 공개하고 있습니다.
또 구글은 재해 상황을 가정한 비상 복구 훈련을 1년에 2번 이상 진행합니다.
영상 플랫폼인 넷플릭스 역시 데이터센터가 멈추는 난장판이 된 재난 상황을 가정한 '카오스 몽키'란 모의 훈련을 주기적으로 시행하고, 그 내용도 공개합니다.
데이터센터 위치도 못 밝히고 화재는 예상 못 했다는 카카오와는 다른 모습입니다.
Q4. 이번 일로 더 비판을 받는 게, 보니까 카카오가 진출하지 않은 사업이 없더라. 돈 되는 건 다 건드리고 이런 책임과 기본은 모른 척했다는 거죠.
맞습니다.
메신저인 카카오톡은 물론 카카오뱅크, 카카오게임까지 하고 있는데 심지어 택시와 대리기사 서비스, 미용실 예약, 꽃배달 중개서비스까지 하고 있죠.
지난해 6조 원 이상의 매출을 올렸고, 계열사만 130개가 넘습니다.
기본기 투자보다 돈벌이가 우선 아니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권헌영 /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데이터 관리에) 적극 투자해야죠. 선제적으로 기술 투자도 하고 자원 투자도 더 하고, 인력 투자도 더 하는, 사회적 책임도 다하는 기업의 자세를 보여야 되기 때문에…"
Q5. 이번에 피해를 본 국민들이 너무 많은데요. 무료 서비스 이용자들도 보상받을 수 있나요?
일단 유료 서비스는 약관에 따라 당연히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무료 서비스 보상은 법조계에서도 의견이 엇갈립니다.
공짜인 만큼 서비스를 계속 이어갈 의무가 약하고 경쟁사 다른 대안도 있어 받기 어렵다는 쪽, 카카오 사업 모델이 무료로 많은 이용자를 모으면서 시작된 만큼 유사시를 대비하지 않은 책임을 묻을 수 있다는 쪽이 팽팽히 맞서고 있습니다.
Q6. 마지막으로 대통령도 그렇고 독과점을 지적하고 있죠?
일상 생활뿐 아니라 안보 측면에서도 민간 기업이라고 더는 자율에만 맡길 순 없다고 본 겁니다.
국민 5명 중 4명이 쓰고 정부 시스템 안에도 들어와 있는 만큼 서비스 유지와 인프라 투자를 정부가 관리 감독하겠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 재난관리시설로 지정하고 공정위는 올해 안에 시장 지배적 지위 남용 심사 지침도 마련할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
안보겸 기자 abg@ichannela.com